거침없이 빡세게 토론하고 싶다면?
거침없이 빡세게 토론하고 싶다면?
2018.11.01

"응, 괜찮은 거 같아"

이유를 더 묻고 싶었지만, 적당히 타협하고 넘어간 적 있지 않나요? 저도 토론하다 보면 반박쟁이가 되는 것 같아, 의견 내세우는 것을 멈출 때가 있는데요(ㅠㅠ). 찐하게 한번 토론해보고 싶었던 분들을 위해, 조금은 특별한 독서모임을 소개할까 합니다.


분명한 입장을 가지고 빡세게 토론하는 독서모임, [왜애]



북클럽 [왜애]는 찬성/반대처럼 분명한 내 입장을 선택한 후 토론하는 독서모임입니다. 모임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독후감을 작성해야 하는데요. 독후감을 쓰면서 토론에 필요한 내 주장을 정리하게 됩니다. 의견 대립이 가능한 발제문을 가지고, 내가 정한 입장에 따라 진영을 나누어 토론합니다. 


-힘든 현실 속에서 희망을 주기 위한 하얀 거짓말이라면 정당화될 수 있다? vs 거짓된 희망은 정당화될 수 없다? (『거의 모든 거짓말』)


-각자가 소속된 공동체가 유년기의 육아와 노년기의 노후를 보장해준다면, 현재의 혈연 중심 가족 구성은 의미가 없어질 거라고 믿는 나, 비정상인가? (『소멸세계』)


-자연을 있는 그대로 지키는 것이 항상 개발하는 것보다 좋은 결과를 가져오는가? (『연애 소설 읽는 노인』)


-완전한 평등이란 게 가능한가? 어떤 게 모두를 위한 평등이라고 할 수 있는가? (『이갈리아의 딸들』)


-우리가 한 생명을 소멸한다고 할 때 어디까지 양심의 가책을 느껴야 할까? (『소프트웨어 객체의 생애와 주기』)


각각의 발제문도 흥미롭지만 ‘거짓말은 정당화 될 수 있는가?’ ‘혈연 중심 가족 구성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인가?’처럼, 평소에 깊게 생각하지 못한 주제에 대해서 다루게 되는 점도 흥미로운 것 같습니다. [왜애]에서는 주장의 옳고 그름을 가리는 게 목적이 아닌 서로의 의견을 따져보고, 끊임없이 ‘왜?’를 물음으로써 깊이 있는 사고를 하게 됩니다.



지금까지 찬반 토론하는 독서모임 [왜애]를 함께 알아보았는데요. 반박쟁이가 되기 싫어 적당히 중립을 지켰거나, 다른 의견을 가진 사람들과 열띤 토론을 나누고 싶다거나, 동의할 수 없는 의견에 ‘왜?’를 묻고 싶다면, [왜애]에서 함께 거침없이 빡세게 토론해요!


[왜애], 왜 좋냐고요?


“자신의 잘못된 생각을 깨달을 수도, 상대방의 근거를 양분 삼아 내 주장을 더 견고히 할 수도 있다. 이런 경험 어디 가서 하기 쉽지 않다.”


“'세상에 당연한 것은 없구나, 이건 뭘까 저건 뭘까' 짚어가며 퍼져나가는 생각들이 [왜애]의 매력이다. 좋은 질문들을 경험하고 싶다면 [왜애]는 탁월한 선택이다.”


“함께 상식에 대해 의문을 던지고 시간 가는 줄 모르게 얘길 나눌 수 있는 곳이 또 어디 있을까?”

묻고 따지면서 찐한 토론을 하고 싶다면?


사람들이 좋아하는 글이에요!
이미지
놀러가기란?
내 클럽 말고 다른 클럽이 궁금하다면?
2019.03.20
이미지
재미있는 이야기와 친밀한 시간은 원래 귀합니다
무라카미 류의 소설, 나이듦, 한국의 굴, 그리고 황교익 씨에 관한 대화
2018.12.14
이미지
멤버 경험 반년, "나는 트레바리 열성팬이 되어버렸다"
전종현 님은 트레바리에서 직접 만난 사람들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2018.10.03